HONGGOK'S
-
금리 인상 이후의 우리 주식시장이슈&뉴스 2010. 7. 15. 14:23
7월9일 금통위에서 기습적?인 금리 인상을 했습니다. 완전한 기습적인 인상은 아니었습니다. 계속 금리를 인상할것이라는 예상은 해왔는데, 그 시기가 문제였었습니다. 대부분의 시장전문가들은 8,9월 정도로 예상했었는데 이번달에 금리 인상을 할줄은 몰랐었는데, 놀랐다는 표현이 맞지 싶습니다. 이번 금리 인상은 아주 중요한 지점에서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보여 집니다. 실제 우리 경제의 내용을 보면 기존의 실질적인 최저 금리에서 마냥 머무를수만은 없었고, 사실 모든 소매 경기는 회복이 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시중에 풀려 있는 돈등으로, 물가가 상승의 우려까지고 있었기에 금리 인상을 해야만하는 상황이었는데요. 그리고 우리의 체감경기가 아닌 대기업 중심의 우리 경기가 회복세를 이루고 있었다는 점에서 이번 금리 ..
-
7월14일 장마감 - 외인과 프로그램의 힘이슈&뉴스 2010. 7. 15. 13:54
9000억원의 외국인의 순매수와 1조가 넘는 프로그램이 매수 그동안 넘지 못하고 3번이나 두드렸던 최고점을 뛰어 넘기 위해서는 이정도의 에너지가 필요했나봅니다. 그렇지 않고는 바로 뛰어 넘기 힘들었을겁니다 이제 이런 큰 에너지로 뛰어 넘어 줬는데, 멍석을 깔아 줬는데 어떤 늦은 바보가 매수에 동참해 줄까요? 그러기엔 개인투자자들(큰 돈을 굴리는 자문형 랩)이 너무 똑똑합니다. 이제 남은 늦은 바보는 연 기금 정도 밖에 생각나지 않는데요... 개인이 매도를 8000억 이상 해주었습니다. 매도의 관점에서 이들은 빠른 바보일까요? 빨리 조금이라도 높은 가격에서 매도를 잘한 것일까요? 아마 그럴지도 모르겠습니다. 두가지로 해석해볼수 있겠습니다. 이 지점, 전 고점을 뛰어 넘은 이 지점에서 지수를 누군가가 더 강..
-
7월13일 장마감 - 전고점 돌파에 대한 부담이슈&뉴스 2010. 7. 15. 13:04
지난 5월 말에 시작된 상승추세가 아직도 지속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6월말 고점 형성 후 하락 했지만, 1/3 지점 정도에서 반등을 보인 모습에서 5월말의 상승 에너지가 소멸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그렇게 다시 5월말에 형성했던 고점을 돌파 하려는 지점이 현재 위치로 보입니다. 오늘까지 4일 연속 외국인들이 강한 매수로 돌파를 시도했지만, 역시 약간은 부담이 되는 모습입니다. 5월말에 형성되었던 고점 위에 또 올해 4월에 형성되었던 올해 최고점이 버티고 있으니깐, 당연히 부담을 느낄만하구요. 매수를 하고 있는 외인들이 부담을 느끼지 않고 있다고 하더라도 번번히 미끌어 졌던 지점이어서 개인들의 매도세가 외인의 매수세를 압도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그 결과 윗꼬리가 긴 음봉이 나왔는데요. 어제까지..
-
7월12일 장마감 - 교수형 출현???이슈&뉴스 2010. 7. 15. 12:59
수급의 중요성을 요즘 새삼 느끼게 됩니다. 실적이 좋을것으로 보여서, 어닝시즌이라서 주가가 올라간다는 많은 뉴스들.. 지난주에는 실적이 나쁠것 같아서 내렸습니까? 물론 실적이 받쳐 주어야 안심하고 투자 할 수 있는것이지만, 이런 실적등 펀더멘탈을 논하는것은 길게 볼때 우리가 상승 추세 중에 있다는것을 설명할때는 적용될지 몰라도, 하루 하루의 주가를 논할땐, 좀 가져다 붙이기로 밖에 보이지 않습니다. 상승의 이유는 그런 이유보다도, 악재를 논하던 외국장이 상승했다는 이유와 더불어 매수세가 들어 온다는 이런 이유때문이지 않을지. 갭상승을 놓고 본다면, 개인이 주 매수세로 들어오는 장에는 거의 대부분 음봉으로 마감합니다. 아랫 꼬리를 단다 하더라도 그 봉의 색깔은 파란색 음봉일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외인..
-
7월09일 장마감 - 주식 시장에서 시간이란이슈&뉴스 2010. 7. 15. 11:46
지난 한주 강한 음봉의 발생으로 걱정을 하였었는데, 이번 한주 지난 음봉의 2/3을 소화 시키는 강한 양봉이 나와 주어서 다행입니다. 주식시장이라는 곳이 참 어렵기도 하고 재미 있는 곳이라는게.. 어떤 외부 적인 악재가 터졌을때, 다른 국가들 보다 적게 내리면, 그 다음에 그 악재때 벼틴것이 소급적용되어 다음에 더 내리지 않고, 언제 그랬냐는듯이 다른 국가들이 상승할땐 같이 상승하는 모습을 볼수가 있습니다. 이런 현상은 악재 터진 이후에 우리 시장만 휴장일때, 확연하게 나타 나는데요. 그렇지 않을때도 웬만한 악재발생 이후 우리 시장만이라도 잘 지켜준다면, 정말 지키는게 되어 버리게 됩니다. 이런 의미에서 보면, 우리 시장은 개인이라는 내리면 매수를 하는 주체와 자기들 돈 아니라고 내릴때 마다 지켜주려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