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뉴스
-
7월15일 장마감 - 트랩(Trap) ?이슈&뉴스 2010. 7. 15. 17:48
외인이 4000억 프로그램이 1600억이나 매수를 해주었는데, 지수는 내렸습니다. 어제 시황에 매수 여력에 대해서 언급했었는데, 외인은 강한 베팅을 하는 모습입니다. 솔직히 그 베팅의 이유는 잘 모르겠지만(큰일입니다. 대한민국 사람인 제가 왜 저렇게 강한 베팅을 하는지 모르는데, 외국인들은 하니깐요.^^) 여하튼 이번 외인의 베팅을 두가지로 생각해봤습니다. 한가지는 추세에 그냥 몸을 맞긴것으로 봐 봤습니다. 외인들의 매매 패턴을 보면, 주식의 정석에 가까운 패턴을 보입니다.(개별 종목을 말하는게 아니라 지수에 매매량으로) 추세를 미리 예측해서 받치거나 미리 매도 하지 않고 추세 그대로 베팅을 합니다. 그러다가 도저히 밀려서 안되고 추세가 전환되어 버리면 다시 전환된 추세대로 매매를 합니다. 즉, 상승 추..
-
차이완 시대의 부상과 대응(현대경제연구소)이슈&뉴스 2010. 7. 15. 15:33
(ECFA 체결) 중국과 대만의 양안 경제협력체제협정으로 차이완(Chiwan=china+taiwan) 시대가 본격 개막됨 기존의 각 국가들의 자유무역 협정과는 조금은 차원이 틀린 경제 통일이라 할 수 있다. 이 차이완이 우리에게 끼치는 영향은 지금 우리가 느끼는 이상이 될것같다. 중국과 우리의 수출품의 겹침을 제외하고서라도, 우리나라의 대 중국 무역 편중 현상이 심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중국과 FTA를 서둘려야 하긴 하지만,FTA만으로는 해결책이 될수 없을듯하다. 무역 상대국의 다변화가 빨리 이루어져야 할 것 같다. http://blog.daum.net/yomega/7503630
-
서비스업 제조업 성장률과 GDP이슈&뉴스 2010. 7. 15. 15:28
GDP와 제조업 그리고 서비스업을 이렇게 비교해 놓은 표를 보니, 실질 생활 경기가 왜 이렇게 않좋은지 알것 같습니다. 큰 그림으로는 서비스 업의 고저도 GDP와 함께 가지만, 제조업이 실제 우리 GDP와 함께 하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수출의 비중이 GDP에 차지하는 비중이 크니깐 그건 당연한것 같고, 서비스업이 GDP를 기준으로 GDP보다 밑에 있으니, 서비스업이 제조업에 비해서 침체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겠습니다. 저년 동기 대비 % 임에도 불구하고 서비스업이 저 정도 밖에 안되는거 보면, 아직 경기가 완벽하게 회복, 특히 소비 부분에서는 회복되었다고 보기엔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출처 : 2010.07 KDI 경제동향
-
2010 하반기 경제 성장 둔화(LG경제연구원)이슈&뉴스 2010. 7. 15. 15:26
지난 2009년 2분기 이후 세계경기는 올 초까지 급격한 상승을 했다. 주식 시장의 차트로 비교해보면, 급등을 한셈이다. 급등 후에는 급락(가격조정)이나 횡보(기간조정)이 있듯이, 지난해 2분기 이후 급격한 추세를 보이며 상승한 세계경기 또한, 이번 후반기에는 어느 정도 조정이 예상된다. 이 조정이 상하 즉, 가격조정으로 온다면 그것은 더블 딥이 될것이고, 그렇지 않고 좌우 즉, 기간조정으로 온다면 단지 성장 둔화 정도에서 소비심리 개선등을 통하여 에너지를 비축하는 모습을 보일것이다. 상승후의 기간조정===>>> 주식차트의 패턴에서도 가장 이상적인 패턴이듯이 이번 하반기에 성장이 둔화 되면서 더블딥을 격지 않고 횡보만 해준다면, 추후에 세계경제 활황을 맞이 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이건 어디..
-
한국 외환시장과 주식시장의 불안정성 비교(삼성경제연구소)이슈&뉴스 2010. 7. 15. 15:17
외환시장과 주식시장 중 외환시장이 주식시장 보다 더 불안정한 모습을 보인다. 두 시장 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 변동성이 크게 확대 되었지만, 환율의 변동성이 더 커진 모습을 볼수 있다. 외환시장이 주식시장에 비해 외부충격에 더 취약한 이유는 1. 외국 차입자금이 외국인 주식투자 자금보다 더 많이 이탈 2. 한국의 외환시장은 경제규모에 걸맞지 않게 왜소 3. 주식시장에 비해 외환시장에서 외국자본의 영향력이 압도적 시사점 1. 평상시에 과도하게 증가하고 금융불안 시에 급격히 유출되는 단기 외채에 대한 종합적인 대비책이 필요 2. 외환시장의 불안정성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외환시장규모를 경제 규모에 합당한 수준으로 확대하는 노력필요 http://blog.daum.net/yomega/7503598